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산 사업의 중심이 될 평창올림픽플라자가 17일 개관식과 함께 문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기념식수, 테이프 커팅식, 축하공연을 비롯해 전시관 관람과 평창 건강 걷기대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주요 내빈과 평창군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평창올림픽플라자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당시 올림픽의 중심 공간이었으며, 이번에 새롭게 조성된 시설은 당시 올림픽 정신을 계승해 2019년부터 2025년까지 7년에 걸쳐 대관령면 횡계리 707번지 일원에 조성되었다.
총 부지면적은 약 17,800평, 건축 총면적은 약 1,281평으로, 평창ICT센터·기념 광장·기념 공원 등이 포함되며, 토지가액 약 239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495억 원이 투입되었다.
특히 평창ICT센터에는 평창의 자연과 올림픽을 주제로 한 디지털 전시관과 야외 미디어파사드가 조성되었고, 기념 광장과 기념 공원에는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헌신한 관계자·자원봉사자·지역 주민들의 노고를 기리는 요소들이 곳곳에 담겨 있다. 이를 통해 평창올림픽의 감동을 이어갈 지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한편, 평창군은 지난 9월 재단법인 평창유산재단과 관리위탁 계약을 체결했으며, 향후 올림픽 유산사업의 전문적 관리 체계를 구축해 본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평창올림픽플라자는 올림픽 성공 개최라는 평창군의 자랑스러운 업적을 기념하는 공간”이라며 “앞으로 이곳이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인이 찾는 올림픽 유산계승의 상징 공간으로 빛날 수 있도록 충실한 운영과 문화·관광 인프라 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사항>
○ 평창ICT센터: 총면적 4,233㎡ 규모의 공간으로, 평창의 자연과 올림픽을 주제로 한 디지털 전시관과 재단법인 평창유산재단 사무실, 레거시홀 등
- 디지털전시관: 평창의 자연과 올림픽을 주제로 2개의 테마관(A관: 올림픽, B관: 평창의 자연)을 미디어아트로 구현
- 미디어파사드: 평창의 자연과 올림픽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기념광장 측 건물외벽에 미디어파사드 투사
- 디지털아카이브: 평창ICT센터 디지털전시관 입구에는 올림픽 유치 노력과 성공 개최 이미지, 군민들의 헌신과 노고가 보존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 미디어 아트월이 구축
○기념 광장 및 기념 공원: 올림픽 성화대를 향하는 기억의 길, 자작나무 필드, 오륜필드, 화합의 마당 등을 포함하여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해 힘쓴 수많은 관계자, 자원봉사자, 지역 주민들의 헌신과 노고를 기억하는 요소가 곳곳에 담겨, 감동을 이어 나갈 수 있는 장이 될 전망
○ 자원봉사자거리: 올림픽성공개최를 위해 힘쓴 자원봉사자들을 기리기 위한 장소로, 자원봉사자 바닥석 메시지, 올림픽 테마 트릭아트 등을 활용한 약 300m의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