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eBook
뉴스
한국인
국제
9.11 전후
참회록
라떼 기자
칼럼
갈짓자 잡문가 김인규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사투리
또다른 도전
귀농귀촌
새 인생
앤틱
앤틱이야기
Rare Items (for sale)
미국 미시시피 대운하
eBook
뉴스
한국인
국제
9.11 전후
참회록
라떼 기자
칼럼
갈짓자 잡문가 김인규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사투리
또다른 도전
귀농귀촌
새 인생
앤틱
앤틱이야기
Rare Items (for sale)
미국 미시시피 대운하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eBook
칼럼
또다른 도전
앤틱
미국 미시시피 대운하
해뜸뉴스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칼럼
칼럼
칼럼 전체
갈짓자 잡문가 김인규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사투리
다음
이전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술아 술아, 석잔만 마실래"
술은 필자에게 얼굴을 붉게 하는 홍우(紅友)이면서 하늘에서 내려 준 좋은 녹(祿)이라는 뜻의 천지미록(天之美祿)이라 할 것이다.맛이 좋은 술을 지주(旨酒)라 하고, 신선이 마신다는 좋은 술을 유하주(流霞酒)라 했으니 장부(丈夫)가 이 좋은 술을 마다할 리가 없다. 그래서 늦게나마 최근에는 적당한 선에서 술자리를 자주 갖는
김인규 기자
2025.04.02 10:59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유자로 만드는 전복김치
“동창(東窓)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 치는 아희놈은 상긔 아니 일었느냐 재 넘어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느니”조선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1629~1711년)의 유명한 시다. 그는 자신의 호를 따 시문집 등을 엮은 『약천집(藥泉集)』이 있는데, 이 책에 유자로 만드는 전복김치에 관해
김인규 기자
2025.03.31 11:03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위민정치에 힘을 쏟은 정조(正祖)
조선 최고의 개혁군주는 조선 22대 왕, 정조(正祖, 1752~1800)라고 생각한다.직제학(直提學) 서유방(徐有防)이 정조(正祖)7년 (1783, )에 쓴 기록을 보면, 정조(正祖)는 ‘食是民天(식시민천)음식은 백성이 하늘로 여기는 것’이라 했다. 일찍이 여말선초(麗末鮮初) 3은(三隱)의 한 사람인 목은(牧隱) 이색(李
김인규 기자
2025.03.24 11:04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강원도의 향토음식 섭국
물속 바위에 붙어 서식하는 자연산 ‘참홍합’을 강원도에서는‘섭’이라 한다.조선 중기 어의(御醫)로 있으면서 구암(龜巖) 허준(許浚, 1546∼1615)이 1610년에 선조(宣祖)의 명(命)으로 편찬한『동의보감(東醫寶鑑)』에 홍합을 우리말로 ‘셥’이라 썼다. 이를 보더라도 강원도에서 ‘참홍합’을 ‘섭’이라고 부르는 것이 전
김인규 기자
2025.03.18 17:39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강원도의 향토음식 꼴두국수와 가수기
강원도에 가면 향토음식으로 메밀로 하는 꼴두국수와 콩가루와 밀가루가 들어가는 가수기가 있다.꼴두국수는 강원도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알려진 콧등치기국수와 유사한 메밀 칼국수의 일종이며, 강원도 영월의 향토음식이다. 영월군 관내에서 유일하게 꼴두국수를 판매하는 ‘제천식당’은 1973년 개업하였으며, 개업 당시 메밀, 감자,
김인규 기자
2025.03.16 13:57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고종과 순종의 군밤 사랑
밤은 고려 성종(成宗)때부터는 영(令)으로서 재배를 권장했으며 조선조 초기에는 밤나무를 재배하는 자는 나라의 부역에서 제외되는 혜택 까지도 받을 만큼 중요시 했으나 조선조(李朝)정치가 부패함에 따라 밤 재배는 수난을 겪어 쇠퇴하고 말았다.정약용(丁若鏞)이 관의 횡포를 폭로한 기록을 보면 지방관장들의 주달이 어찌나 심했던지
김인규 기자
2025.03.07 11:16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찌개의 변천 ‘지짐이’‘전(臇)’‘조치(助致)’‘감정’
삼면이 바다인 지형적 특성과 뚜렷한 사계절로 다양한 식재료를 보유한 우리나라야말로 식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다.구이 문화로 시작한 서양음식과 달리 우리나라는 신석기시대부터 토기 사용으로 습열 조리가 가능한 증숙(蒸熟) 문화로 안정된 반상문화를 가지고 있다. 반상문화에서 반갱(飯羹)과 찌개는 한식(韓食)만이 같는 독특한 식
김인규 기자
2025.02.26 12:00
식생활문화연구가 김영복
미주구리로 불리는 물가자미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는 가자미과의 바닷물고기이다. 동북 방언으로 감중어라 부르기도 한다. 고기에 수분이 좀 많은 편이어서 물가자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경북에서는 물가자미를 ‘미주구리’라고도 하는데, 미주구리는 기름가자미도 함께 방언으로 쓰고 있다.
김인규 기자
2025.02.25 11:44
칼럼
이것이 국민의 승리인가?
[이것이 국민의 승리인가] 김성우 칼럼<서울대 문리대 정치학과 1957년 졸업/한국일보 고문, 주필, 편집국장, 駐佛특파원 역임/近著: "수평선 너머에서", "인생을 묻는다", "명문장의 조건", "돌아가는 배" (최근 이를 바탕으로 映像자서전《김성우 Biovideo ‘돌아가는 배'》제작/시인협회가 공인한 대한민국 최초의
김인규 기자
2024.07.19 10:50
1
|
2
|
3
|
4
|
5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