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와 구조 분석
재질: 단단한 하드우드(단풍나무, 오크, 혹은 참나무 계열)
형태: 타원형에 가까운 곡선형 몸통, 윗부분은 뚜껑으로 덮이고 가죽끈(leather thong)으로 고정
제작법: 손으로 다듬은 조각 방식(hand-carved, joined fitting lid)
기능: 내용물을 보호하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전통 용기형태
🌏 추정 원산 및 제작 시기
국가: 북유럽(특히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혹은 알래스카/캐나다의 인디언 커뮤니티에서 전통적으로 쓰던 "tine box" (또는 bentwood box) 형태와 매우 유사합니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Tine”이라 불리며, 점심, 빵, 치즈 등을 담는 도시락통 용도로 18~19세기부터 사용됨.
북미 원주민 문화에서는 비슷한 형태로 약초·담배·곡물 저장함으로 제작됨.
제작 시기: 전통기법과 표면 산화 정도로 보아 20세기 중반(1940~1960년대) 수공예품 가능성이 높습니다.
🏺 용도 구분
노르웨이형 Tine Box: 뚜껑이 몸통 위로 덮이며 가죽끈이나 나무 고리로 묶음. 주로 식품용 혹은 선물 포장용
북미형 인디언 약초상자: 비슷한 모양이지만 주로 곡물, 담배, 약초 보관. 가죽끈 마감 동일
이 제품의 곡선과 끈 마감 구조로 보면 북유럽 전통 Tine Box형 수공예품에 더 가깝습니다.
💰 현재 시장 가치 (2025년 기준 추정)
구분설명시세 (USD)한화 (KRW)
일반 수공예 빈티지 Tine Box (1940–60s)마감 단순, 표식 없음$40–$90약 5만~12만원
스칸디나비아 작가 서명품문양·장식 있음$120–$250약 16만~33만원
19세기 원형 수공예품고급 수공예, 민속박물관급$300 이상약 40만~60만원 이상
현재 사진의 것은 문양이나 작가각인이 없고 실용형 형태로 보여 약 $50–80 (7만~11만원) 정도의 가치로 추정됩니다.
📜 참고 정보
관련 용어 검색: “Norwegian tine box,” “Scandinavian bentwood box,” “Sami wooden lunch box”
보존 팁: 직사광선과 습기를 피하고, 무광 왁스(bee wax)로 연 1회 정도 보호하면 색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